전체 글44 정전 발생 시 설비의 작동 순서 이해하기 수변전설비를 운용하다보면 순간 정전이나 외부 사고 등으로 인한 정전이 종종 발생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순간 정전의 경우는 바로 전원이 공급되지만 외부 요인에 의한 정전 시에는 정전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어 일부 현장에서는 이를 대비하기위해 발전기를 설치하기도 한다.이번에는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설비가 정전을 감지하는 동작 흐름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비상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정전 발생 시 설비의 작동 순서 여러가지 이유로 정전이 발생하지만 크게 외부의 요인과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정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외부적인 요인으로는 천재지변과 같은 자연재해, 고장 발생으로 인한 불시정전이나 계획 정전 또는 배전선로의 리클로저(R/C) 동작에 의한 정전 등이 있으며, .. 2023. 2. 8. 각종 수전 및 변전 기기의 종류 및 점검 방법 전력설비를 구축함에 있어 개폐기와 차단기 설치 이후에는 각종 수전 및 변전용 기기의 조합을 통해 부하측 이전의 수전설비를 완성하게 된다.수변전기기는 용도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사용법 및 점검 방법에 대해서 명확한 이해와 숙지가 되어있지 않다면 설비를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이번 장에서는 각종 수변전용 기기의 용도와 점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수변전 기기의 종류와 주요 용도 대표적인 수변전기기로 계기용 변성기(MOF : Metering of Out Fit)가 있다.이는 수용가로 들어오는 특고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해주는 계기용 변압기와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해주는 계기용 변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적산 계량기로 전달해주기 위한 측적용 설비이다.이렇게 .. 2023. 2. 7. 고장 전류 차단기의 분류 및 특성과 점검 방법 전기 설비의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신속하게 전류 공급을 중단하여 감전 및 화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력 부품 중 하나가 바로 차단기이다. 앞서 설명한 개폐기와 다르게 차단기는 전류의 공급과 차단 역할 뿐만 아니라 고장 전류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전류 공급을 신속하게 중단시켜줄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이번 장에서는 차단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알아보고 각각의 특성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차단기의 분류 및 특성 수전 설비에 사용되는 특별 고압 차단기의 종류는 차단기 개폐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방식에 따라 분류된다.유입 차단기(OCB), 공기 차단기(ABB), 자기 차단기(MBB), 진공 차단기(VCB), 가스 차단기(GCB) 등이 있으며 주로 진.. 2023. 2. 7. 전원 차단용 개폐기의 정의와 종류 및 점검 전기 설비의 구성 요소 중에는 주 전원의 투입과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여러가지 개폐기가 있다.각각의 위치와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 방법 또한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이번에는 개폐기가 무엇이며 어떤 용도로 사용이 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각 개폐기의 점검 및 조작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개폐기란 무엇인가 전기 설비에 있어서 전원을 차단한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그중에 개폐기는 주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어 설비를 구성하는데 가장 상위에 설치하는 장치이다.이런 개폐기는 보통 전력 회로의 부하전류를 개폐하는데 주로 사용이 된다. 하지만 이것은 단락이나 과부하와 같은 이상 전류나 사고 전류에 대한 자동 대응능력은.. 2023. 2. 6.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