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절체스위치4 자동절체스위치(ATS) 고장, 수리 및 점검 방법 완벽 가이드 자동절체스위치(ATS, Automatic Transfer Switch)는 정전이 발생했을 때 비상 발전기로 자동 전환하여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이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정전 시 비상 발전기가 가동되지 않아 중요한 시설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ATS의 고장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수리 및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본 글에서는 ATS의 주요 고장 원인, 점검 방법, 수리 절차 및 예방 유지보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ATS(자동절체스위치) 주요 고장 원인자동절체스위치(ATS)는 주로 전원 절체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고장 원인이 있습니다.1. 제어회로 고장ATS 내부에는 전원 감지 및 절체를 담당하는 제어회로가 있습니다. 이 .. 2025. 2. 21. 자동 절체 스위치 (ATS)의 정의와 종류 및 적용 분야 자동 절체 스위치(ATS, Automatic Transfer Switch)는 일반적으로 자동 대기 발전기 또는 기타 백업 전원이 있는 시설이나 건물에 설치가 되며, 주 전원(유틸리티 그리드 또는 주전원)의 전원 공급을 모니터링하고 정전이 발생하면 부하를 백업 전원으로 전환을 시켜주게 됩니다. 이 전환 과정은 수동으로 개입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동작이 이루어집니다. 이번에는 이 ATS에 대해서 정의와 종류 그리고 주로 적용되는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TS의 정의 자동 절체 스위치(ATS)는 두 전원 간에 전원 공급원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전기 장치로서 주요 목적은 정전 시 또는 백업 전원으로 전환해야 할 때 전원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전력을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기 설비.. 2023. 4. 21. 자동 절체 스위치 (ATS) 시스템의 구성 및 회로의 이해 자동 절체 스위치(ATS, Automatic Transfer Switch) 회로는 기본적으로 주 전원과 비상 전원 사이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1차 주 전원에서 정전 또는 전원 공급 중단이 발생한 경우에 즉각적으로 전원 공급 주체를 전환하여 정전없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이번에는 ATS의 회로 구성 방법과 ATS 회로의 자동운전과 수동운전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ATS 시스템의 구성 자동 절체 스위치 (ATS)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은 복잡한 작업일 수도 있지만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여기서는 ATS 회로의 주요 구성 요소와 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 2023. 2. 9. 정전 발생 시 검출 방식의 종류와 특징 비상발전기는 정전으로 인해 기계와 설비가 갑작스럽게 정지하면서 화재나 폭발 등의 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설비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데, 이와 관련해서 소방법과 건축법, 전기사업법 및 의료법에 따라 설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그리고 정전이 발생하면 이 정전을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비상 발전기를 기동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차이를 보인다.이번에는 정전을 검출하는 방식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UVR 접점 방식에 의한 정전 검출 먼저 알아볼 것은 부족 전압 계전기(UVR) 접점 방식에 의한 정전 검출 및 비상발전기 기동이다.이 방식은 정전 발생 시 UVR에서 정전 여부를 감지하여 내부의 보조 릴레이(b 접점)를 통해 비상 발전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기동.. 2023. 2.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