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기술

전기 자격증 종류 및 2025년 시험 일정 총정리

by vistatu27 2025. 2. 24.

 

전기 관련 자격증은 전기설비의 설치, 유지보수, 설계 및 감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증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취업, 창업, 승진 등에 유리하며, 특히 전기 분야는 지속적인 수요가 있는 안정적인 직업군이므로 많은 사람들이 도전하는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종류, 각 자격증별 역할, 응시 자격, 2025년 시험 일정 및 준비 방법을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


1. 전기 자격증 종류 (국가기술자격증 기준)

전기 관련 국가기술자격증은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기술사로 나뉘며, 활용 분야에 따라 전기설비, 전력공급, 감리, 유지보수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전기 분야 국가기술자격증 개요

자격증 등급 주 업무 난이도
전기기능사 기능사 전기설비 시공 및 유지보수 쉬움
전기산업기사 산업기사 전기설비 설계 및 감리 보조 중간
전기기사 기사 전기설비 설계, 감리, 유지보수 어려움
전기기능장 기능장 고급 기술 및 현장 관리 어려움
전기응용기술사 기술사 전기 관련 최고 전문가 매우 어려움

2. 전기 자격증별 상세 내용 & 응시 자격

1️⃣ 전기기능사 (기초 전기 자격증)

 주요 역할

  • 전기배선, 배관, 시공, 유지보수 업무 수행
  • 전기 관련 기초 기술 습득

 응시 자격 : 제한 없음 (누구나 응시 가능)

 취업 가능 분야

  • 전기 시설 관리 (공장, 건물, 아파트)
  • 전기 공사 업체
  • 공무원 (전기 관련 직렬)

난이도 : ★☆☆☆☆ (초보자도 도전 가능)


 

2️⃣ 전기산업기사 (중급 전기 자격증)

 주요 역할

  • 전기설비 설계 보조 및 감리
  • 전력 시설 유지보수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 충족)

  • 관련 학과 전문대 졸업
  • 1년 이상의 실무 경력
  • 기능사 취득 후 1년 경력

 취업 가능 분야

  • 전기 시공업체 (설계, 감리)
  • 발전소 및 전력 관련 기업

 난이도 : ★★★☆☆ (전기기능사보다 한 단계 어려움)


3️⃣ 전기기사 (대표적인 전기 자격증, 가장 인기 있음!)

 주요 역할

  • 전기설비 설계, 감리, 유지보수
  • 공기업, 대기업 취업 시 우대
  • 전기안전관리자, 전기공사 감리 가능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 충족)

  • 관련 학과 4년제 대학 졸업
  • 관련 학과 전문대 졸업 + 1년 실무
  • 전기산업기사 취득 후 1년 경력

 취업 가능 분야

  • 한국전력공사(한전), 발전소, 전력기기 제조업체
  • 대기업 (삼성, LG, 현대 등) 전기설비 관리
  • 공무원 및 공공기관 (전기 관련 직렬)

 난이도 : ★★★★☆ (전기산업기사보다 어렵지만, 가장 활용도가 높음)


4️⃣ 전기기능장 (전기 분야의 최고 기능직 자격증)

 주요 역할

  • 전기 시공 및 감리 최고 전문가
  • 현장 기술 지도 및 관리

 응시 자격

  • 전기 기능사 취득 후 5년 경력
  • 관련 실무 9년 이상 경력자

 난이도 : ★★★★★ (경험이 많은 기술자만 도전)


5️⃣ 전기응용기술사 (전기 분야의 최고 전문가 자격증)

 주요 역할

  • 전기설비 설계 및 감리 총괄
  • 발전소, 대형 건축물 전기설비 설계
  • 국가기관 및 공기업 연구직 가능

 응시 자격

  • 전기기사 취득 후 4년 이상 실무 경력
  • 관련 실무 10년 이상 경력자

 난이도 : ★★★★★ (전기 관련 최고 난이도 시험)


3. 2025년 전기 자격증 시험 일정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기준)

 

 

 

✅ 2025년 전기기능사 시험 일정

회차 필기 시험 실기 시험
1회 2월 초 3월 중순
2회 5월 초 6월 중순
3회 8월 초 9월 중순

✅ 2025년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시험 일정

회차 필기 시험 실기 시험
1회 3월 초 5월 중순
2회 6월 초 8월 중순
3회 9월 초 11월 중순

✅ 2025년 전기기능장 & 전기응용기술사 시험 일정

회차 필기 시험 실기 시험
1회 4월 초 6월 초
2회 7월 초 9월 초
3회 10월 초 12월 초

4. 전기 자격증 취득 후 전망

 전기 관련 직종은 꾸준한 인력 수요가 있음 (전기설비,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산업 확대)
 공기업(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 & 대기업 취업 시 유리
 전기기사 취득 시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가능
 창업 가능 (전기공사, 감리업체, 유지보수 서비스 등)


 

5. 결론 : 전기 자격증은 취업 & 창업에 필수!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기술사 순으로 난이도가 상승하며,
 전기기사가 가장 인기가 많고 활용도가 높음!
 2025년 시험 일정 확인 후 미리 준비하면 합격 가능성이 높아짐!

 

 

댓글